서비스디자인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디자인씽킹, 디자인워크숍 퍼실리테이터는 무엇일까? 디자인 퍼실리테이터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디자인씽킹과 서비스디자인을 조금 검색해보신 분들이라면 들어보았을 퍼슬리테이터의 개념과 자격증, 추천 업종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퍼슬리테이터란 워크숍에서 참여자들의 생각과 발산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자인 퍼실리테이터의 정의는 사회문제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씽킹방법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하거나, 프로젝트팀 또는 설계 워크숍에서 촉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말합니다.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촉진자 입니다. 디자인씽킹 워트숍을 진행하며 퍼실리테이터로서 퍼실리테이션의 이해와 기초 촉진 스킬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진행에서 대상자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퍼실리테이터로 추.. [국내 서비스디자인 이해를 위한 기본 개념]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에 대해 알아보자 앞서 서비스디자인과 UX디자인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했습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국내에서 바라보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과 서비스디자인 기사 자격증인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시험에 대한 개념과 접근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서비스디자인의 정의는 개발과 혁신 입니다.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이란 서비스를 개발하고 혁신하기 위한 과정 전반에서 행해지는 디자인 활동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개념으로 서비스 사용자를 이해하기 위한 접근 방법에서부터 디자인 방법이나 도구들의 사용, 서비스 시스템과 프로세스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활동을 포함합니다. 서비스디자인 이해를 위한 세 가지 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킬로서의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에서 강조되는 사용자.. 서비스디자인과 UX디자인의 차이는 무엇인가 서비스디자인과 UX디자인의 차이를 알고 접근하자 국내에 서비스디자인이 도입된지 약 십여년지 지난 지금 우리는 이 이름에 제법 익숙해졌습니다. 공공디자인분야에서 말하는 서비스디자인과 기업에서 말하는 UX디자인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야 앞으로 디자이너 개인이 가고자하는 방향을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 포스팅을 통해 서비스디자인과 UX디자인의 개념, 차이점 그리고 나아가 국내에서 표현하는 서비스디자인과 UX디자인의 차이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서비스디자인과 UX디자인의 개념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서비스디자인이란? 서비스기반의 마케팅 논리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설계하는 디자인분야입니다. 기본적으로 산업디자인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경영/마케팅/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프로세스 전반을 디자인하는 것입.. 이전 1 다음